Learning Goal
XR Interaction X Mobility

This PBL (Project Based Learning) class focused on researching, designing, and prototyping mobility experience and user interaction in Metaverse, Digital Transformation era.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traditional mobility approach, it is meaningful as a unique curriculum that cultivates the convergence thinking and ability to design while observing the brand environment, consumer lifestyle, and designing the service.

By developing a process that redefines mobility design with design-centered thinking, we tried to present it as a vision of the changing industry environment. 

The education goal is to incubate a multi-platform designer required by the 4th industrial age through the practice convergence towards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in XR Interaction design and Mobility design.

All projects proposed interaction, interface design and mobility interior design that representing innovative service design as a result of convergence thinking. In addition, various multimedia formats such as  AR, MR, VR Unity prototyping and digital animation video were used to implement service experience, interface examples, and interior design proposals.

본 PBL(Project Based Learning) 수업은 융복합 메타버스 시대의 모빌리티 경험과 사용자 인터랙션을 연구하고 구상하여 프로토타이핑 해보는것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기존의 전통적인 모빌리티 접근법에서 벗어나 브랜드 환경과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관망하며 설계하는 융합적 사고능력을 배양하는 독보적인 커리큘럼에 의미가 있습니다. 

디자인 중심의 사고로 모빌리티 디자인을 재정의 하는 프로세스를 개발하여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해답으로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XR (AR,VR,MR) 인터랙션 디자인, 모빌리티 디자인 각 전공별 특성을 살리면서도 조화롭게 융합시키는 연습을 통해 다가오는 4차산업 시대가 요구하는 멀티플렛폼 디자이너로 성장하는것이 목표입니다. 

모든 프로젝트는 융합적인 사고의 결과로 혁신적인 서비스 디자인을 구현하는 AR, VR, MR,인터랙션,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모빌리티 인테리어 디자인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경험과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 인테리어 디자인 제안 등을 프레젠테이션, Unity 프로토타이핑, 3D 렌더링, 디지털 영상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포맷을 활용하여 구현하였습니다. 

Instructors

Hongik industrial design
Interaction Design Professor/ Head of department

Hongik industrial design
Mobility Design Professor